[MS Surface] 공식 서피스 AS 수리 리퍼 방법 (1) 계정 생성, 기기 등록 및 시리얼 찾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서피스 AS 수리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우선 서피스 AS 수리에 대한 첫 번째 글로 전체적인 개요와 계정을 어떻게 만들고, 내 디바이스(장치)를 어떻게 등록하는지, 그리고 시리얼 번호를 어떻게 확인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2010년대 초반부터 애플(Apple)은 iPad와 MacBook Air 등으로 프리미엄 노트북 시장을 선점해 왔습니다. 당시 윈도우 기반 노트북들은 전반적으로 ‘두껍고 무겁고 저렴한 소재’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들은 휴대성과 고급스러움을 갖춘 맥(Mac) 시리즈로 눈길을 돌리게 되었지요.

마이크로소프트(MS)는 이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윈도우 제품도 얼마든지 혁신적이면서 ‘소유욕’을 자극하는 제품이 될 수 있다”라는 것을 보여주고자 ‘서피스(Surface)’ 시리즈를 선보였습니다. 서피스는 세련된 디자인과 터치스크린, 전용 펜(Surface Pen) 등을 통해 노트북이자 태블릿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독창적인 폼팩터를 제안했고, 이를 통해 프리미엄 노트북 시장에서 새롭게 부각되었습니다.

하지만 서피스의 문제는 ‘품질관리(Quality Control)’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삼성전자처럼 직접 생산라인을 갖추고 있거나, 애플처럼 하청 업체를 직접 관리·감독하는 체계를 갖추고 있었다면 안정적인 품질관리가 수월했을 텐데, 마이크로소프트는 그러지 못했습니다.

그 결과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가 자주 발생했습니다. 예를 들어 서피스 디스플레이 혹은 힌지(접히는 부분) 내구성 문제가 보고되거나, 운영체제(Windows) 업데이트 이후 특정 장치 드라이버 충돌이 생기는 등 다양한 트러블이 있었습니다.

여기에 더해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식 서비스(AS) 정책은 대체로 ‘리퍼비시(refurbished) 제품 교체’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대개 서비스 접수부터 실제 수령까지 최소 1주일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경우가 많으며, 한국에서 진행되는 공식 수리는 주로 이러한 리퍼 교체를 기본으로 삼고 있습니다. 물론 신품 교환을 받는 사례도 간혹 있지만, 대부분 정해진 절차에서는 리퍼비시 제품 제공이 표준 프로세스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전반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서피스 공식 수리(AS)를 어떻게 신청하는지, 계정을 어떻게 만들고, 내 디바이스(장치)를 어떻게 등록하는지, 그리고 시리얼 번호를 어떻게 확인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이 후속 글에서는 실제 수리 과정과 리퍼비시 기기 교체 절차에 대해 더욱 상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1)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만들기, 기기 등록 및 시리얼 찾기 (이번 글)
(2) 수리 신청 방법 및 결재, 리퍼 받기 (후속글)


공식 MS 서피스 AS 수리 정책 개요

마이크로소프트의 공식 서피스 AS 수리 정책은 크게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1. 제품 교환(리퍼비시) 중심
    서피스가 보증 기간 이내든, 보증 기간이 만료되었든 또는 물리적 손상이 있든 간에, 대부분의 오프라인 수리보다는 리퍼비시 제품 교환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리퍼비시 제품이란, 초기 불량 또는 반납된 기기를 재정비(부품 교체 등)하여 완전히 정상 작동하도록 만든 제품입니다.
  2. 장시간 소요 가능
    기본적으로 접수부터 실제로 교체 제품(리퍼비시)을 수령하기까지는 통상적으로 1주일 이상의 기간이 소요됩니다. 국내 서비스센터가 별도로 있긴 하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자체에서 직접 수리하는 것이 아니라 물류센터로 보내 검수 후 교체하는 절차를 거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는 편입니다.
  3. 보증 기간 및 교체 후 보증
    • 서피스 장치가 아직 제한 보증 기간 내에 있다면, 대부분 무상 리퍼 교체 혹은 무상 서비스가 가능합니다(사용자 과실이 아닌 하드웨어 결함일 경우).
    • 물리적 손상(예: 화면이 깨짐, 떨어뜨려 생긴 기기 파손 등)인 경우에는 무상 서비스 대상이 되지 않고 비용이 청구되거나, 보증이 만료된 상태라면 유상 교체 정책을 따르게 됩니다.
    • 교체를 받고 난 뒤 제공되는 리퍼비시 제품에도 ‘교체 후 보증’이 적용됩니다. 공식적으로는 90일간 서비스 보증이 제공되거나, 기존 보증 기간이 남아 있을 경우 남은 기간이 90일보다 길다면 그 기간이 적용됩니다.
  4. 데이터 백업 의무
    • 서피스를 켤 수 있다면, 꼭 미리 중요 데이터를 백업해 두어야 합니다. 교환 과정에서 내부 저장장치(SSD 등)를 그대로 보존하지 않고 교체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교체 작업 중 데이터 손실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므로, 원드라이브(OneDrive)나 외장 하드, 혹은 다른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활용하여 중요한 자료를 미리 옮겨 두는 것을 권장합니다.
  5. 비즈니스용 장치
    • 만약 개인용이 아니라 조직(기업, 학교 등) 소유 장치라면, 일반 소비자용과는 다른 수리 옵션 또는 프로세스가 적용될 수 있습니다. 별도의 기업 및 교육용 서비스 옵션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소비자 개인용 서피스에 대해 서피스 AS 수리를 위해 ‘온라인으로 서비스 접수를 시작하는 방법’, 즉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생성 및 기기 등록을 중점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계정 만들기, 로그인 및 장치 등록

서피스 AS 수리를 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통해 로그인을 하고, 계정의 장치 페이지로 이동하여 장치 등록을 시작해야 합니다. 만약 이미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있고 해당 계정에 수리 받고자 하는 장치가 등록되어 있다면 다음 후속글로 이동해도 됩니다.

(1)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생성 또는 로그인

  1.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없는 경우
    • 계정 생성 페이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만들기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이메일 또는 전화번호 등록: 새로 만들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거나 이미 사용 중인 이메일(예: Gmail, 네이버 등)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 비밀번호 설정 및 기본정보 입력: 이름, 생년월일, 지역 등 몇 가지 간단한 정보를 입력한 뒤, 보안 절차(전화번호 인증, 메일 인증 등)를 거쳐 계정을 완성합니다.
  2.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있는 경우
    • 기존 계정을 사용하여 마이크로소프트 로그인 페이지에서 로그인합니다.
    • 계정이 여러 개 있을 수 있으니, 주로 사용하는 메일 주소로 로그인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서피스 수리 신청 시 본 계정 정보가 매우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2) 계정의 장치 페이지로 이동

서피스 AS 수리를 위해서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에 로그인한 뒤, 여기 URL 계정의 장치 페이지 로 이동해야 하빈다. 여기서는 본인의 계정에 등록된 디바이스(장치) 목록을 확인하고, 새로운 장치를 등록하거나, 이미 등록된 장치에 대해 서비스 신청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공식 서피스 AS 수리 방법

(3) 장치 등록 하기

그 다음 해당 장치에 대한 서피스 AS 수리 신청을 위해서 장치 등록을 진행해야 합니다.

1. 장치 등록 버튼 클릭
‘장치 페이지’ 내에서 ‘장치 등록’ 또는 ‘기기 추가’ 등으로 표시된 버튼을 찾습니다. 해당 버튼을 선택하면 새로운 장치를 수리하고자 하는 장치를 등록할 수 있는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2. 장치 정보 입력
디바이스 종류: Surface Pro, Surface Laptop, Surface Book 등 자신이 사용하는 모델에 해당하는 항목을 선택합니다.
지역(국가): ‘대한민국(Korea)’ 등을 선택합니다.
일련번호(시리얼 번호) 입력: 서피스 기기의 시리얼 번호를 입력합니다.

3. 시리얼 번호 확인 방법
하드웨어에서 찾기: 서피스 키보드의 뒷면(타이핑 커버를 분리하면 보이는 하단 부분), 또는 제품 하단 스탠드(킥스탠드)를 펼쳤을 때 안쪽 부근에 일련번호가 적혀 있습니다. 모델마다 위치가 조금씩 다르므로, 확인 후 적어두면 좋습니다.

공식 서피스 AS 수리 방법

– Windows에서 찾기: 만약 서피스를 켤 수 있는 상태라면, “설정 > 시스템 > 정보” 또는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 > 보안” 항목 등에서 제품 일련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구체적인 표기 위치는 윈도우 버전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또는 ‘장치 정보(Device Info)’ 메뉴를 찾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박스(패키지)에서 찾기: 구입 시 받았던 패키지나 영수증, 보증서 등의 문서에도 기기의 시리얼 번호가 적혀 있을 수 있습니다.

공식 서피스 AS 수리 방법

(4) 장치 등록 완료

모든 정보를 정확히 입력한 뒤 ‘등록 완료’나 ‘추가’ 버튼을 누르면, 계정에 해당 서피스 기기가 성공적으로 등록됩니다. 이후 ‘장치 페이지’에 돌아가면 본인이 등록한 장치 목록에서 새로 등록한 서피스 기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예: Surface Pro 7, Surface Laptop 등 모델명과 함께 시리얼 번호 표시).

이제 이 상태에서 공식 서피스 AS 수리 신청이 가능합니다.

공식 서피스 AS 수리 방법

공식 서피스 AS 수리 신청 전 주의 사항

  1. 데이터 백업
    • 서피스를 켤 수 있다면, 중요한 문서, 사진, 동영상, 프로그램 설정 등을 외장하드나 원드라이브, 구글 드라이브, 네이버 MYBOX 등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미리 백업해 두는 것이 필수입니다.
    • 수리 또는 리퍼비시 교환 과정에서 기기의 내부 SSD가 완전히 교체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경우 데이터를 복구하기 어렵습니다.
  2. 보증 상태 확인
    • 장치를 등록하면 보증 기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만약 실제 보증 기간이 사이트에 표시된 정보와 다르다면, 구매 영수증이나 구매내역 인증을 통해 보증 기간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조정하는 절차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첫 번째 글에서는 공식 서피스 AS 수리를 받기 위한 기초 준비 단계인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생성장치 등록 방법, 그리고 시리얼 번호 확인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본격적인 공식 서피스 AS 수리 신청 절차, 결제(유상 수리 시 비용 확인 및 처리) 방법, 그리고 리퍼비시 제품 수령 및 이후 주의 사항 등에 대해 좀 더 구체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만들기, 기기 등록 및 시리얼 찾기 (이번 글)
(2) 수리 신청 방법 및 결재, 리퍼 받기 (후속글)


참고로 서피스 AS 수리에 대한 관련 글은 아래와 같습니다.

쿠팡안심케어 조회 및 양도 방법 모바일로 1분 끝내기 (쿠팡안심케어 명의 변경)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