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3.0 개념 (1) 웹1.0, 웹2.0 차이와 웹3.0 정의 및 탈중앙화

이번 포스팅에서는 웹3.0 정의와 함께 탈중앙화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서 웹1.0와 웹2.0 흐름에 대해 설명하고 웹3.0 정의를 하려고 합니다.

참고로 이번 포스팅은 웹3.0 개념 이라는 시리즈로 아래와 같은 2개 포스팅으로 정리할 예정입니다.

웹 3.0 개념 (1) 웹1.0, 웹2.0 차이와 웹3.0 정의 및 탈중앙화 >> 이번 포스팅

웹 3.0 개념 (2) 웹3.0 코인 및 웹3.0 NFT

참고로 본 시리즈는 어디까지나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투자에 참고만 해주시기를 부탁 드립니다.

최근에는 블록체인에서 이어지는 가상화폐, NFT 개념과 더불어 웹3.0 (Web3.0)에 대한 이야기를 자주 듣게 됩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웹3.0 정의를 하자면 개별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인화, 지능화된 웹”을 의미합니다. 웹 3.0은 컴퓨터가 시맨틱 웹(semantic web)이라는 기술을 이용하여 웹페이지에 담긴 내용을 이해하고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웹 기술입니다.

웹 3.0은 www(월드 와이드 웹)이 향후 어떻게 진화될 것인지를 서술할 때 자주 사용되는데요, 최근의 웹 혁명을 서술하기 위해 쓰이는 웹 2.0이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되었고, 이후 블록체인 탈중앙화에 의한 인터넷 혁명을 설명하기 위해 웹3.0이라는 용어가 등장하기 시작한 것 같습니다.

웹3.0 정의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선 기존의 웹1.0과 웹2.0 정의를 해보고 기존 웹 서비스의 문제점을 찾아본 다음에 웹3.0과 탈중앙화에 대해 설명할 예정입니다.


웹1.0이란, 웹2.0이란 기존 웹서비스 문제점

웹1.0이란 PC기반의 단순 접속(Access) 중심의 인터넷 공간을 의미하고 웹2.0은 웹브라우저, 모바일로 진화하여 참여와 공유가 가능한 인터넷 공간을 의미합니다.

웹이 도입되기 전에는 정보가 부족했지만, 웹1.0과 웹2.0 시대를 지나가면서 정보가 부족하지 않고 오히려 넘치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오래 전에는 해외 여행을 가려고 해도 웹 시대 이전에는 정보 찾기가 너무 어려웠지만 지금은 너무 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 어떤 정보가 적합한지 찾아야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초기에 등장한 웹 1.0은 그저 상호 연결된 컴퓨터가 정보를 공유하는 개인 네트워크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게다가 웹 1.0의 초기 사용자들은 온라인에 접속하기 위해서 허가를 요청해야 했습니다. 물론 월드 와이드 웹(www)의 창시자인 버너스 리는 인터넷의 완전한 잠재력은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예측하였지요.

그렇게 웹 2.0으로의 전환이 시작되었습니다. Netscape와 Internet Explore 같은 여러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도록 브라우저의 형태로 생겨났습니다. 어느새 그저 정적인 HTML 페이지에서 누구나 원하는 어떤 콘텐츠를 언제나 업로드할 수 있는 대화 형태의 웹사이트가 나타나기 시작했습니다.

웹3.0 정의

속도도 빨라지고 모바일기기, 서버 등 기반 기술일 발달함에 따라, 웹2.0은 오늘날 우리가 익숙하게 사용하는 소셜 미디어 또는 비디오 게임 스트리밍 사이트와 같은 새로운 유형의 온라인 애플리케이션도 만들게 되었습니다.

웹2.0에서는 정보 제공자는 대중을 대상으로 정보를 제공합니다. 정보 제공자는 초기에는 자기 만족감 등의 내재적 동기가 주요 유인이 되었겠지만, 점차 경제적인 이유가 정보를 제공하는 주요한 근원이 됩니다. 이러한 웹2.0의 경제적 보상은 광고의 구조를 가져가게 되어 있습니다.

그 결과, 정보의 유효성보다는 얼마나 많은 대중이 해당 정보를 읽었는지에 따라 그 가치 평가가 진행되었고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대중적인” 정보가 범람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웹2.0 인터넷 환경에서는 디지털 콘텐츠들이 사실상 무한대로 복제될 수 있었기 때문에 원본과 복사본의 분리가 불가능했습니다.

그 때문에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소유권 추적이 어렵고 원작자는 자신의 창작물에 대한 수익 창출이 어려운 문제도 있었습니다. 아무리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이 발달하더라도 양질의 정보 자체를 생산할 수는 없습니다. 일부 정보를 생산하더라도 제한적일 수 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웹3.0이란 웹3.0 정의와 탈중앙화

웹1.0이 PC기반의 단순 접속(Access) 중심의 인터넷 공간, 웹2.0은 모바일로 진화하여 참여와 공유가 가능한 인터넷 공간이라고 한다면, 웹3.0 정의하자면 메타버스 공간도 포함하여 상황인식(Context)을 기반으로 지능화된 웹이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공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웹3.0 정의는 현재 만들어가는 과정에 있지만 어찌되었든 핵심적인 부분은 맞춤형 웹시대가 도래한다는 것입니다.

애초에 다양한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정보 제공이 필요한데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결 가능하게 하는 것이 블록체인 기술입니다.

웹3.0은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시작된 개념입니다.

이러한 웹3.0 구현을 위해서는 인공지능 AI와 빅데이터 처리 기술이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이며, 소비자의 기호와 필요성에 따라 적합한 정보를 찾아 제공하는 것이 핵심 요소가 될 것입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웹1.0과 2.0, 그리고 웹3.0 정의 하자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웹3.0 정의


웹 3.0 정의를 간단히 해보자면 이른바 “탈중앙화” 기반의 상호 연결된 가상공간입니다.
“웹 1.0″에선 정보를 읽을 수만 있었고, “웹 2.0″에선 정보를 읽고 쓸 수 있었습니다. 웹 3.0에선 읽고 쓰는 것은 물론 소유(Read-Write-Own)도 가능합니다. 웹 3.0을 “개발자와 사용자가 함께 소유하고 조율하는 인터넷”이라고 정의하기도 합니다.

웹 3.0과 웹 2.0의 가장 큰 차이는 이렇게 해당 콘텐츠를 소유할 수 있다는 점에 있습니다.

웹 2.0에선 서비스 사업자가 정책을 변경하거나 컴퓨터 상의 오류, 해킹 등으로 콘텐츠가 사라지거나 삭제되면 소유권을 주장하기 어려워집니다. 하지만 기술적으로 해킹이 쉽지 않은 블록체인 기술과 NFT가 결합한 웹 3.0에선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합니다.

웹 3.0이 보편화하면 인터넷상에 콘텐츠를 올리는 서비스 사용자와 이를 이용해 수익을 내는 플랫폼(서비스) 업체 간 구분이 없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습니다.

유튜브를 예로 든다면, 동영상을 촬영해 업로드하는 “서비스 사용자”와 이들이 올린 콘텐츠로 수익을 내는 “플랫폼사 – 구글” 간의 명확한 경계선이 사라진다는 것 입니다.

웹 3.0에서는 블록체인이 서버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구글이 유튜브 서비스를 종료하더라도 서비스의 기반이 되는 블록체인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콘텐츠는 없어지지 않는데요, 창작 콘텐츠 자체가 NFT인 덕분에 소유자 외에는 복사나 수정도 불가능하며 이에 따른 수익 역시 사용자가 온전히 가져갈 수 있게 됩니다.

위에서 이야기한 웹1.0, 웹2.0과 웹3.0 특징을 요약해서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웹3.0 정의

이번 포스팅에서는 먼저 기존의 웹1.0과 웹2.0 정의를 해보고 기존 웹 서비스의 문제점을 찾아본 다음에 웹3.0 정의와 탈중앙화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웹3.0 코인 및 웹3.0 NFT에 대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볼 예정입니다.

참고로 이번 포스팅은 웹3.0 개념 이라는 시리즈로 아래와 같은 2개 포스팅으로 정리할 예정입니다.

웹 3.0 개념 (1) 웹1.0, 웹2.0 차이와 웹3.0 정의 및 탈중앙화

웹3.0 개념 (2) 웹3.0 코인 및 웹3.0 NFT


앞선 포스팅에서 정리한 웹3.0과 연관된 IT트랜드 관련 글은 아래와 같습니다.

메타버스란 (1) 메타버스 뜻과 유래, 이상적인 조건

가상화폐 채굴 프로그램 – 가정 집에서 이더리움 채굴하기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