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Excel 엑셀 천단위 절상 방법에 대하여 ROUND 함수 및 셀서식 활용 2가지 방법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엑셀(Excel)은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 중에서도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Microsoft Office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 단순히 데이터를 표 형태로 입력·정리하는 수준을 넘어, 방대한 양의 정보를 분석하고 통계 처리를 하는 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됩니다. 기본적으로 함수 계산, 차트 및 그래프 시각화, 피벗 테이블, 조건부 서식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업무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이처럼 워낙 기능이 다양하다 보니, 가격이나 재무 관련 데이터를 엑셀에 입력할 때 소수점 이하 자릿수가 길어지거나, 금액이 너무 커서 숫자를 보기 어렵거나 헷갈리는 경우를 자주 접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1억 원, 10억 원 이상의 금액을 계속 쓰거나, 소수점 이하 3~4자리가 붙은 환율 데이터를 다룰 때가 대표적입니다.
이처럼 데이터가 커질수록 이를 한눈에 알아보기 힘들고, 보고서나 문서를 작성할 때도 가독성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원하는 특정 자리를 기준으로 데이터를 잘라 내거나(절사), 올리거나(절상), 혹은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하여 표시하는 방법을 자주 씁니다. 특히 엑셀 천단위 절상을 통해 “천 단위”를 기준으로 절상해 버리면, 예를 들어 1,235원 같은 값을 2,000원(2천 원)으로 올림하여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처럼 엑셀 천단위 절상(올림)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ROUNDUP 함수를 중심으로 한 함수 사용 방식을 먼저 알아보고, 그다음 표시 형식 기능(셀서식)을 간단히 활용하는 방법을 정리할 예정입니다. 표시 형식만으로는 ‘실제 데이터’가 바뀌는 것은 아니지만, 보여주는 형식을 바꿔서 “절상된 것처럼” 가독성을 높이는 결과를 얻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엑셀 천단위 절상 방법 (1) ROUND 함수 사용 방법
엑셀에는 ROUND, ROUNDUP, ROUNDDOWN 함수를 비롯한 여러 반올림·절상·절사 관련 함수가 있습니다.
- ROUND: 지정한 자리에서 가장 가까운 정수(또는 소수)로 반올림
- ROUNDUP: 지정한 자리에서 무조건 올림
- ROUNDDOWN: 지정한 자리에서 무조건 내림
1) 천 단위로 절상(올림)하기
예를 들어 123,456원을 천의 자리까지만 표시하되 올림(절상)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작성합니다.
=ROUNDUP(셀 주소, -3)
- -3은 정수 왼쪽 세 자리를 대상으로 반올림하겠다는 의미입니다.
- 0이면 소수점 이하를 다루는 것이고, -1, -2, -3처럼 음수가 증가할수록 더 높은 자리(십, 백, 천, 만 단위)로 이동합니다.
- =ROUNDUP(A1, -3)에서 A1에 123,456이 들어 있다면, 천의 자리로 무조건 올림하므로 124,000이 됩니다.
2) 실제 예시 적용
가령 아래와 같이 국가별 환율 데이터가 있다고 가정 합니다. 환율은 원 단위로 소수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국가 | 환율(원) |
---|---|
USD | 1,235.45 |
EUR | 1,315.52 |
JPY | 937.12 |
CNY | 169.44 |
- USD 환율(1,235.45원)을 천 단위로 엑셀 천단위 절상(올림)하려면: =ROUNDUP(1235.45, -3)
- 천의 자리인 ‘1천’을 기준으로 무조건 올림하므로, 2,000원이 됩니다.
- 실제 계산으로 보면 1.235 → 올림 시 2(천 단위)라는 개념이죠.
- 만약 EUR 환율(1,315.52원)도 같은 방식으로 처리하면, 다음과 같이 천의 자리로 올림됩니다. =ROUNDUP(1315.52, -3)
- 결과는 2,000원이 될 것입니다.
이렇게 구해진 결과를 보고서에서는 “2천 원” 등으로 표시하여, 복잡한 소수점 아래나 백의 자리·십의 자리 이하를 없앨 수 있습니다. 다만, 실제 환율 계산 시에는 소수점 이하는 굉장히 중요할 수 있으므로, 업무 목적에 맞춰 적용 범위를 결정해 주어야 합니다.
3) 함수 사용 시 주의할 점
- 표시 형식(셀 서식)을 이용한 방법은 셀이 가진 ‘실제 데이터’가 바뀌지 않고 ‘보이는 방식만’ 달라지는 것입니다.
- 반면 ROUNDUP(또는 ROUNDDOWN, ROUND) 함수를 이용하면, 엑셀 내부적으로도 실제 값이 바뀝니다.
- 따라서 가공된 데이터로 다시 계산해야 하거나, 보고서에 반영해야 할 때는 함수 사용 방식이 편리합니다.
- 원본 데이터를 유지하면서도 표시만 바꾸고 싶다면, 별도의 셀에 ROUNDUP 함수를 적용한 값을 입력하는 방식을 추천합니다.
추가 팁
- ROUNDDOWN 함수: 천 단위 절사(내림)
- 예: =ROUNDDOWN(1235.45, -3) → 1,000
- ROUND 함수: 천 단위 반올림
- 예: =ROUND(1235.45, -3) → 1,000 (값이 1,500 이상이었다면 2,000이 됨)
- 소수점 이하를 특정 자리까지 표시하고 싶다면, [홈] 탭 → [소수 자릿수 줄이기 / 늘리기] 버튼을 적절히 사용하거나, =ROUND(셀, 2)처럼 양수 값을 사용해 소수점 아래 둘째 자리까지만 표현할 수도 있습니다.
엑셀에는 이 밖에도 IF 함수, MROUND 함수, CEILING, FLOOR 등 숫자를 다루는 다양한 기능이 있으니, 여러 상황별로 응용해 보길 권장합니다. 특히 재무·가격·통계 데이터 등을 다룰 때 가독성을 높이는 핵심 팁이므로, 이 글을 참고하여 업무 생산성을 높여 보시기 바랍니다.
엑셀 천단위 절상 방법 (2) 표시 형식 기능 활용
앞서 설명한 함수 방식은 실제 값이 변경되므로 재계산 시 해당 결과를 그대로 이용하게 됩니다. 만약, “실제 값은 그대로 두고, 보여주는 모양만 천 단위로 올린 것처럼” 엑셀 천단위 절상을 하고자 한다면, 셀 서식에서 특정 사용자 지정 형식을 설정해주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주의할 점은 표시 형식 자체로는 엄밀히 ‘올림’(절상)을 하지는 못한다는 것입니다. 셀 서식의 쉼표(,)는 주로 “절사”나 “소수점 이하 표시 자릿수 조정”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다만 위의 예시를 통해 ROUNDUP 함수로 얻은 결과 값으로 표시 형식 기능을 활용한다면, 엑셀 천단위 절상하여 표현이 가능 합니다. 실제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1. 숫자에 천 단위 구분 기호 넣기
셀을 선택하고, [홈] 탭 → [표시 형식] 그룹에서 쉼표(,) 아이콘을 누르면 쉽게 천 단위 구분 기호가 추가됩니다. 이때, 소수점 아래가 잘려 보이거나, 자동으로 반올림되는 형식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Ctrl + 1] → [셀 서식] → [사용자 지정] 이동 → [#,##0,] 입력
기본적으로 #,##0 형식이 사용되는데, 여기서 뒤에 쉼표를 하나 더 붙여 #,#
#0,
처럼 만들면, 천 단위(뒷 3자리)가 잘린 상태로 “절사된 것처럼” 표시됩니다. 예를 들어, 1,235.45가 1,235로 보이거나, 20,000,000이 20,000처럼 표시됩니다.
이 기능은 결과적으로 절사와 유사한 표시이고, 올림을 적용해 주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실제 1,235.45가 2,000(천의 자리 올림)으로 표시되진 않는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다만, 이미 ROUNDUP 함수를 통해 얻은 결과를 위와 같이 셀서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엑셀 천단위 절상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천원”처럼 텍스트 추가하기:
위의 겨과에 사용자 지정 형식에 #,##0,”천원” 등으로 입력하면, 숫자 뒤에 “천원”이라는 단위가 붙어서 표시됩니다. 가령 해당 셀 영역을 선택한 다음, 아래와 같이 설정을 해주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천원”이 붙어서 표현이 됩니다.
참고로 마이크로소프트 고객센터 페이지에서 엑셀 천단위 표시 및 구분 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안내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엑셀 천단위 절상(올림) 방법”을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나눠 살펴보았습니다.
- ROUND 함수 (특히 ROUNDUP) 사용
- =ROUNDUP(숫자, -3) 형태로 천 단위를 기준으로 무조건 올림 가능
- 예: =ROUNDUP(1235.45, -3) → 2,000원
- 표시 형식 기능 (사용자 지정 서식) 활용
- [Ctrl + 1] → [사용자 지정] → #,##0, 등의 방식을 통해 뒷자리(천 단위 이하) 절사 표시
- 텍스트를 붙여 ‘천원’ 단위로 표현 가능
- 다만, 실제로 “무조건 올림”을 적용해 주는 것은 아니며, 값은 그대로이고 표기만 바뀜
- ROUNDUP 함수를 통해 값을 만들고 셀서식을 통해 엑셀 천단위 절상 표시 가능
따라서 실무에서 보고서나 통계 자료를 작성할 때, 실제 숫자를 변경(올림)해야 하는지, 아니면 시각적인 표현만 바꾸면 되는지를 먼저 구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실제 숫자에 ‘천 단위로 올림된 값’을 이용해야 한다면, ROUNDUP 함수를 사용합니다.
- 단지 출력 서식만 단순화하고 싶다면, [사용자 지정] 서식을 활용해 뒤쪽 자리를 잘라 보여주는 방법도 가능합니다(이 경우는 ‘절사’에 가깝다는 점 유의). 절상을 위해서는 ROUNDUP 함수도 함께 활용 필요
이상으로 엑셀 천단위 절상 방법에 대해 (1) ROUND 함수 사용, (2) 표시 형식 기능 활용 두 가지 접근법을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작업 목적과 상황에 맞춰 적절히 활용해 보시면, 크게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정리한 엑셀 관련 글은 아래와 같습니다.
[Excel 실무] 엑셀 IFERROR 함수 사용 꿀팁 1분 끝내기 (#DIV/0!, #N/A, #REF! 오류 처리 방법)
Excel 엑셀 소수점 표시 설정 2가지 방법 (셀서식, 표시형식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