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컴오피스 한글 블록계산식 합계 평균값 구하기 및 소수점 설정 방법 3초 끝내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컴오피스 한글 블록계산식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글 블록계산식은 한글 문서 내에서 표를 활용해 다양한 수식을 간단히 적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데이터 계산과 문서 작성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합니다.

한컴오피스 한글은 국내에서 개발된 워드프로세서로, 오랜 기간 동안 한국어 문서 작업 환경에 최적화된 기능을 제공해 왔습니다. 특히 공공기관과 기업에서 공문서, 보고서를 작성할 때 표준 프로그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한글 문서(HWP) 형식은 국내 행정기관과 교육기관 등에서 자주 사용되며, 한국어 문서 작업에 특화된 맞춤법 검사, 교정·교열 기능이 탑재되어 있어 문서 작성 시 매우 편리합니다.

그중에서도 한글의 표 관련 기능은 단순히 데이터를 정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블록계산식을 통해 다양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강력한 도구로 평가받습니다.
블록계산식은 표 안의 특정 데이터를 선택(블록 지정)하여, 이를 활용한 합계, 평균, 곱셈에 대한 계산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사용법도 직관적이라 초보자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선 한컴오피스 한글 블록계산식이란 무엇인지 쉬운계산식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 한글 블록계산식 합계 및 평균값 계산 방법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평균값 계산시 소수점 이하 없애기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한글 블록계산식이란?

한글 블록계산식은 한글 문서에서 특정 범위(블록)를 지정해 놓고, 그 안에 있는 데이터들을 바로 합계, 평균, 곱셈을 연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입니다. 즉, 표 안의 여러 칸(셀)을 마우스로 드래그하여 범위를 잡은 뒤, 한 번의 설정으로 데이터 계산을 수행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쉬운계산식과 블록계산식의 차이점

한글 쉬운계산식은 앞선 포스팅에서 정리한 바 있는데요, 블록계산식과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쉬운계산식
    • 주로 마우스 우클릭 → ‘쉬운 계산식’ 메뉴를 통해, 합계를 구할 셀이나 평균을 낼 셀에 직접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 각 셀(또는 표의 행/열)에 바로 결과를 입력해주는 형태로, 단일 셀마다 계산식 메뉴를 선택해주는 패턴이 많습니다.
    • 가로/세로 합계, 평균, 곱이 가능 합니다.

쉬운 계산식은 매우 간편하나, 만약 계산해야할 셀과 무관한 문자열(예: ‘12월’, ‘10일’ 등)이 같은 행(또는 열)에 들어 있다면, 계산에서 숫자가 아닌 셀도 포함하려고 시도하며 그 결과 연산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잘못된 계산 결과가 나올 수 있습니다.

가령 아래 이미지와 같이 ‘1월’이 포함된 행에서 세로 합계를 구하려고 한다면,

한글 블록계산식

아래 이미지와 같이 ‘1월’의 ‘1’까지도 계산식에 포함되어 75000이 아닌 75001이 출력되게 됩니다.

한글 블록계산식

  • 블록계산식
    • 마우스로 필요한 영역(블록)을 한꺼번에 잡고, 우클릭 메뉴에서 ‘블록계산식’을 실행해 다수의 연산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 원하는 범위를 통째로 계산할 수 있으므로, 여러 행과 열을 선택해 한꺼번에 합계나 평균 등 결과를 구할 때 유용합니다.
    • 연산 결과는 ‘바로 셀에 기입’하거나 ‘결과 표시창’ 형태 등으로 확인 후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 가로/세로 합계, 평균, 곱이 가능 합니다.

한글 블록계산식 상세 합계, 평균 사용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 세션에서 정리해보았습니다.


한글 블록계산식 합계 구하기 방법

한글 블록계산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안에 숫자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아래처럼 1월, 2월 방문자 수를 정리한 표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구분1월2월합계평균
모바일앱3000029000
운영체제2000018000
프로그래밍1500030000
IT트렌드1000021000
합계 셀 포함 계산할 영역 선택 > 마우스 우클릭 > 블록 계산식 > "블록 합계"  선택

블록합을 계산한 셀을 포함하여 합계 셀이 가장 마지막 선택이 될 수 있도록 영역 선택을 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블록 계산식]을 선택하고 블록 합계를 선택합니다.

한글 블록계산식

위와 같이 영역 선택을 하여 합계 행에서 블록 합계를 계산하면 아래 이미지와 같이 75000이 정상적으로 계산되어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글 블록계산식

한컴오피스 한글 블록계산식 평균 구하기

마찬가지로 한글 블록계산식 평균값을 구하기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평균값 셀 포함 계산할 영역 선택 > 마우스 우클릭 > 블록 계산식 > "블록 평균"  선택

마찬가지로 블록 평균을 계산한 셀을 포함하여 평균값 셀이 가장 마지막 선택이 될 수 있도록 영역 선택을 하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후, [블록 계산식]을 선택하고 블록 평균을 눌러 줍니다. 참고로 중간에 합계셀이 있어도 함께 계산되지 않으므로 안심하고 영역 선택을 하면 됩니다.

한글 블록계산식

위와 같이 한글 블록계산식의 합계, 평균값을 설정하면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계산되어 결과값이 나타나게 됩니다.

한글 블록계산식

한글 표 자동 채우기로 반복 계산 단축하기

만약 표의 각 행/열마다 합계와 평균을 일일이 구하려면, 같은 작업을 여러 번 반복해야 합니다. 이를 한번에 간단히 처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합계/평균이 나온 셀 포함 아래 행 또는 옆의 열 선택 > 마우스 우클릭 > "표 자동 채우기" 선택 
  1. 먼저 이미 합계나 평균이 나온 셀(예: 모바일앱의 합계와 평균 셀)을 포함하여 그 아래 행 또는 옆의 열들을(운영체제, 프로그래밍, IT트렌드 행의 합계·평균 셀)을 블록 지정합니다.
  2. 마우스 오른쪽 버튼[채우기][표 자동 채우기]를 선택합니다.
  3. 그러면 여러 번 클릭해야 나올 결과가 한 번에 자동으로 채워집니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합계든 평균이든 나머지 셀들도 자동 계산값을 채울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한글 블록계산식

가령 아래와 같이 모바일앱에서의 계산 결과를 기반으로 전체 표를 완성할 수 있습니다.

한글 블록계산식

한글 블록계산식 결과 소수점 자리 변경하기

평균값의 경우, 계산 결과가 소수점으로 표시되거나 반대로 소수점 자리수를 늘려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아래와 같이 설정하면 됩니다.

1. 소수점 자리를 변경할 셀 선택 > 마우스 우클릭 > “계산식 고치기” 선택
소수점이 나타난 셀로 커서를 이동합니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계산식 고치기]를 선택해 줍니다. 주의할 점은 셀을 선택할 때 전체가 선택되는 것이 아니라 숫자의 앞쪽 끝이나 맨 뒤로 커서를 이동시켜야한다는 점 입니다.

한글 블록계산식

2. 계산식 창 > 형식 변경하기
“계산식” 창이 뜨면, 형식 항목에서 “기본 형식”, “정수형”, “소수점 2자리” 등 원하는 형태로 설정해줍니다.

예: 정수형을 선택하면 소수점 이하를 생략한 정수값으로 나타남
예: 소수 자릿수를 3자리로 설정하면 123.4567 같은 숫자가 123.456으로 표시

한글 쉬운계산식

설정을 변경한 뒤 확인을 누르면, 원하는 형식으로 결과가 변경 됩다.

한글 블록계산식

한컴오피스 한글 공식 도움말 페이지는 여기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선 한컴오피스 한글 블록계산식이란 무엇인지 쉬운계산식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 한글 블록계산식 합계 및 평균값 계산 방법을 살펴보고 마지막으로 평균값 계산시 소수점 이하 없애기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정리한 한컴오피스 한글 관련 글은 아래와 같습니다.

한컴오피스 한글 두쪽 보기 설정 방법 1분 해결 방법

한컴오피스 한글 쪽번호 오류 3초 해결 방법 (HWP PDF 변환 저장 오류)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