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로보락 샤오미 관계와 더불어, 로보락 제품 라인업 히스토리와 로보락의 성공 이유에 대해 가볍게 살펴보았습니다.
최근 로봇청소기를 알아보다 보면 ‘샤오미 로봇청소기’ 혹은 ‘로보락(Roborock)’이라는 이름을 자주 접하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로보락이 샤오미 자회사인가?”, “둘이 같은 회사인가?” 하고 궁금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로보락은 2014년 베이징에서 창립된 독립 기업인데요, 창업 초기 샤오미 생태계(미지아)에 편입되어 ‘샤오미 로봇청소기 1세대’를 공동 개발하면서 크게 유명해졌습니다. 이를 계기로 단숨에 전 세계에 이름을 알렸고, 많은 분들이 로보락을 샤오미의 한 부서나 자회사쯤으로 오해하게 된 것이죠.
하지만 실제로 로보락은 상하이증권거래소 스타마켓(STAR Market)에 독자적으로 상장할 만큼, 자체 기술력과 사업 역량을 갖춘 기업입니다. 레이저 맵핑(LDS)부터 AI 카메라 기반 장애물 인식, 소닉 진동 물걸레 기능까지 매년 새로운 기술을 선보이며 시장을 선도해왔습니다. 뿐만 아니라 초창기 ‘가성비’ 이미지에서 출발해, 이후 S 시리즈(프리미엄), Q 시리즈(중급), Dyad(습·건식 스틱청소기) 등 다양한 라인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로보락 샤오미 관계를 가볍게 정리하고, 로보락이 어떤 히스토리를 거쳐 세계적인 로봇청소기 기업으로 발돋움했는지 살펴볼 예정입니다.
로보락 샤오미 관계? 왜 헷갈리는가?
로보락(Roborock)은 2014년 베이징에서 설립된 중국 기업입니다. 창립자는 AI 및 로봇 분야에서 경력을 쌓은 뒤 창업한 창징(Chang Jing)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로보락 샤오미 관계를 로보락을 샤오미의 한 부서나 자회사 정도로 생각하시지만, 실제로는 별도의 법인으로 설립된 독립 기업입니다.

샤오미 생태계의 일원, 그리고 투자 관계
로보락이 잘 알려지게 된 결정적 계기는 샤오미가 주도하는 ‘미지아(Mijia)’라는 스마트홈 생태계에 초기에 편입된 것입니다. 샤오미 생태계(미지아 플랫폼)에는 다양한 스타트업이 참여해, 샤오미 브랜드(혹은 미지아 브랜드)로 제품을 내놓습니다. 로보락도 그중 하나로, 샤오미의 투자 펀드를 유치하고 개발 협력을 진행했습니다.
‘샤오미 1세대 로봇청소기’의 진짜 개발사
특히 2016년에 출시된 ‘Mi Robot Vacuum 1세대(국내에서는 흔히 샤오미 미지아 1세대 로봇청소기)’는 샤오미 브랜드로 판매되었지만, 실제 연구개발(R&D)은 로보락이 맡았습니다. 그러다 이후 ‘Roborock’ 독자 브랜드를 점차 확대하면서, 지금의 S 시리즈, Q 시리즈 등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즉, 로보락 샤오미 관계를 정리하자면, 로보락은 샤오미로부터 투자를 받고 샤오미 생태계에 속해 있지만, 완전히 샤오미의 자회사나 OEM·ODM 업체는 아닙니다. 샤오미와의 긴밀한 파트너십 덕에 초기 시장 진입과 인지도 확보에 성공했으며, 동시에 독립 상장과 자체 브랜드를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독자적인 입지를 쌓아가고 있습니다.
로보락 성장 배경: 설립부터 상장까지
1) 설립부터 초기 로보락 성장
로보락은 2014년 베이징에서 창립되어, 설립 초기부터 “레이저 맵핑” 등 로봇 기술 연구에 집중 투자했습니다. 2016년 샤오미 1세대 로봇청소기로 큰 호응을 얻으며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올랐습니다.
2) 상하이증권거래소 STAR Market 상장
2020년 2월 21일에는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의 과학기술혁신판(스타마켓, STAR Market)에 상장(종목 코드: 688169)했습니다. 이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조달해 연구개발(R&D)을 더욱 확대하고, 글로벌 시장에 박차를 가하게 됩니다. 로보락이 단순히 ‘샤오미 브랜드를 빌려 쓰는 작은 회사’가 아니라, 상장 기업으로서 독립된 지위를 가진다는 점이 이 상장을 통해 명확해졌습니다.
최근에는 아래 이미지와 같이(조금 오래된 자료지만) 중국 태생 업체 임에도 품질 이슈나 데이터 수집 이슈 등이 없고 오히려 주요 선진국의 프리미엄 시장을 기존 로봇청소기의 표준을 만든 미국 업체인 iRobot을 제치고 Roborock이 차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보락 제품 라인업 정리
로보락은 샤오미 브랜드로 첫 발을 내딛었지만, 이후 ‘Roborock’ 이름을 내건 다양한 시리즈를 출시했습니다. 대표적으로 S 시리즈(프리미엄 라인)와 E·Q 시리즈(가성비 라인)가 있습니다.
출시 연도 | 제품명/주요 모델 | 특징 |
---|---|---|
2016년 | Mi Robot Vacuum 1세대 (샤오미 미지아 1세대) | – 로보락 R&D + 샤오미 브랜드 – LDS 센서 기반 정밀 맵핑 – 1,800Pa 흡입력 |
2017년 | Mi Robot Vacuum 2 / Roborock S5 | – 물걸레 기능 첫 도입 – 2,000Pa 흡입력 |
2018년 | Roborock E2/E3 시리즈 | – 가성비 모델 – SLAM 알고리즘 개선, 일부 모델은 자이로+옵티컬 센서 |
2019년 | Roborock S6 / S4 / S5 Max | – LDS 개선, 소음 저감 – 물탱크 용량 증가(S5 Max) |
2020년 | Roborock S6 Pure / S6 MaxV | – 듀얼 카메라(AI 장애물 인식) – 2,500Pa 흡입력 |
2021년 | Roborock S7 | – 소닉 진동 물걸레 – 카펫 자동 인식 및 걸레 들어올림 |
2022년 | Roborock S7 MaxV / Dyad / Q 시리즈 | – S7 MaxV: 업그레이드된 AI 카메라 – Dyad: 습·건식 겸용 스틱청소기 – Q 시리즈: 중급형 라인 |
2023년 이후 | Roborock S8 / S8+ / S8 Ultra Roborock S9 시리즈 | – 듀얼 브러시, 6,000Pa 흡입력 – RockDock Ultra(올인원 스테이션) |
- LDS(레이저 거리 센서)는 매년 개선되어 빠른 지도 생성과 정확한 맵핑이 가능해졌습니다.
- AI 카메라 장애물 인식은 2020년 S6 MaxV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었으며, 케이블이나 반려동물 배설물 같은 섬세한 물체도 식별 가능합니다.
- 흡입력은 1세대 1,800Pa에서 최근 모델은 최대 6,000Pa까지 향상되었고, 물걸레 기능도 진동 모듈 탑재와 카펫 자동 인식 등으로 계속 진화하고 있습니다.
- 자동 먼지 비움 스테이션과 물걸레 세척·건조 시스템은 프리미엄 라인(S7+, S8 Ultra 등)에서 제공해, ‘정말 청소가 자동화되었다’는 사용 경험을 제공합니다.
로보락 성장 및 성공 요인
로보락이 짧은 시간 안에 글로벌 시장에서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 샤오미 생태계 시너지
초기 샤오미 투자와 브랜드 협업을 통해, 미 홈(Mi Home) 앱과 연결된 거대한 사용자풀에 로보락 로봇청소기를 빠르게 알릴 수 있었습니다. 덕분에 상대적으로 저렴한 마케팅 비용으로도 시장에 급속 확산이 가능했습니다.
2) 뛰어난 기술력과 지속적 R&D 투자
로보락은 연매출의 10~15%를 R&D에 재투자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레이저 센서(LDS), AI 카메라, 맵핑 알고리즘, 물걸레 모듈 같은 핵심 기술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경쟁사 대비 기술 우위를 확보했습니다.
3) 가성비부터 프리미엄까지 폭넓은 라인업
처음에는 “1,599위안(약 25~30만 원 선)”이라는 파격적인 가격의 1세대 로봇청소기로 가성비 이미지를 구축했습니다. 이후 S 시리즈(프리미엄)와 E/Q 시리즈(가성비/중급)로 세분화하면서, 20만 원대부터 100만 원 이상 고가 모델까지 고루 갖추게 되었고 다양한 소비자층을 흡수했습니다.
4) 글로벌 진출 전략
중국 내수 시장에서 탄탄한 판매량을 올린 뒤, 북미·유럽으로 빠르게 진출했습니다. 아마존, 베스트바이 등 해외 주요 판매 채널에 입점하고, SNS와 유튜브 등에서 후기와 리뷰를 적극 노출해 해외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었습니다.
앞으로의 로보락 성장 전망과 의의
이후에도 로보락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반대로 경쟁도 매우 치열해질 것 같습니다.
1) AI 기술 고도화
카메라·AI 기반 장애물 인식은 앞으로 더욱 정교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반려동물 배설물 회피나, 실내 사물 인식률을 높이는 딥러닝 알고리즘이 고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2) 커뮤니티와 바이럴 영향력
샤오미처럼 전 세계적으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입소문을 극대화해온 점도 로보락의 큰 자산입니다. 레딧(Reddit), 유튜브, 각국 IT 포럼 등에서 사용자들이 적극적으로 사용기를 공유하고 있으며, 이는 추가 홍보 없이도 판매 성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3) 스마트홈 통합 솔루션으로의 확장
로보락은 이미 물걸레진공 스틱청소기(‘Dyad’) 등으로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로봇청소기에 국한되지 않고, 스마트 홈 허브나 생활 로봇 등으로 제품군을 늘릴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정리하자면, 로보락(Roborock)은 2014년 창업 이래 샤오미 생태계의 파트너십을 극대화하여 빠르게 글로벌 시장에서 이름을 알렸습니다. 로보락 샤오미 관계는 처음에는 샤오미 생태계로 시작하였으나 이후 독립 브랜드로 상장까지 성공하면서, R&D 중심의 기술력과 폭넓은 라인업 전략으로 단숨에 세계 로봇청소기 시장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 샤오미 생태계 시너지: 거대한 사용자 풀과 초기 투자 확보
- 기술력·가성비·프리미엄 라인 동시 공략: LDS 센서, AI 카메라, 물걸레 기능의 지속 발전
- 해외 시장 확장: 북미·유럽에서도 적극적인 유통망 확보 및 사용자 후기 확산
2020년대 들어서는 연매출 1조 원 전후의 수치를 기록하고, 누적 수천만 대 판매라는 놀라운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더 이상 ‘샤오미 2군’이 아닌, 로보락 성장을 통해 하나의 독립 브랜드로서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는 셈입니다.
영문 아티클이지만 비즈니스인사이더에 로보락 성장 과정 및 성공 요인에 대해 잘 정리되어 있는 것 같아 함께 읽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앞선 포스팅에서 정리한 로보틱스 관련 글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능형 로봇 전망 (1) 보행로봇과 보스턴다이나믹스 개요
모바일로봇 AGV AMR 차이 및 정의 1분내 쉽게 이해